미스트리스는 프리스트의 전직 중 하나로 원죄의 힘으로 악을 유혹해 처단하는 캐릭터다.
지능과 마법 공격력을 주 능력치로 삼으며 암속성 같아보이는 이펙트와 달리 자체 속성은 없기 때문에 무기에 속성 부여가 별도로 필요하다.
- 특징
미스트리스는 위장자에 가까운 악의 힘으로 자신을 미끼로 삼아 악마들을 끌어내 처단하는 캐릭터다. 악마의 힘을 일부 발현하거나 악마로 변신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던전 내에서 자버프인 '일곱개의 대죄'를 사용할 때 네 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해 특수한 유틸을 챙길 수 있다. 이 중 가장 좋은건 '탐욕스런 자의 식욕(방향키 ←)'으로 무거운 죄업 타격 시 HP와 MP를 무려 15%나 회복해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리스의 2차 각성 패시브 '퍼스트 프리나 : 금단의 결정체'는 악마로 변신하여 공격하는 스킬을 적중할 경우 별도의 공격력을 가진 휘광이 발현된다. 꾸준히 적에게 달라붙어 터트리는 휘광 딜은 의외로 큰 누적 딜링을 넣어주며 훌륭한 성능을 자랑한다.
악마스킬을 사용하여 휘광을 터뜨려 공격하고, 무적기로 몬스터의 공격을 회피하는 미스트리스
앞서 서술한 대로 미스트리스는 초근접 전투를 이어나가야하는데 그 줄타기를 이어가기 위한 방어 기반이 매우 훌륭하다. 여성 프리스트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가드스킬 '무기 막기', 한번에 긴 거리를 이동할수 있는 긴급 탈출기 '컷 인 대쉬', 시전 중 무적을 가진 '길로틴', 피격 데미지 감소율 최대 99%의 '슬로스 바디' 까지 갖추고 있다.
몬스터의 위협적인 패턴 속에서 이런 스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오히려 근접하고 있을때 다른 케릭터들보다 압도적인 생존력을 발휘한다.
- 장비 및 아바타&엠블렘
무기는 프리스트의 무기 중 '낫'를 사용한다. ‘짊어진 자의 낫 마스터리’가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무기를 사용한다는 선택지는 없다.
아바타와 엠블렘은 지능 위주로 능력치를 가져간다. 미스트리스는 '죄를 고하는 자'를 통해 적절한 크리티컬 확률을 보정받기 때문에 피부, 무기, 오라처럼 다색 엠블렘 소켓은 되도록 지능으로 채우는 편이 좋다.
아바타 상의 옵션의 경우 상술했든 유의미한 지속딜을 뽑게 만들어 주는 '퍼스트 프라나'를 선택하며 플래티넘 엠블렘의 경우 '죄업에 짓눌린 육신'을 선호한다.
스위칭 스킬 | 일곱개의 대죄 (20레벨) |
|
플래티넘 엠블렘 |
죄업에 짓눌린 육신 | |
슬롯 | 옵션 | 앰블럼 |
머리/모자 | 지능 | 지능 지능 + 마법크리티컬 |
얼굴/목가슴 | 공격속도 | 지능, 공격속도 |
상의 | [스위칭]일곱개의 대죄 퍼스트 프라나 |
지능 + 마법크리티컬 마법크리티컬 |
하의 | HP MAX 지능(이벤트 아바타 한정) |
지능 + 마법크리티컬 마법크리티컬 |
허리 | 회피율 인벤토리 무게 증가 |
이동속도 |
신발 | 이동속도 | 이동속도 |
- 탈리스만
탈리스만은 4개의 탈리스만이 채널링 감소가 달려있고 공격력 상승치도 적절한 수준이다. 이에 미스트리스는 해당 4개의 탈리스만을 우선해서 가져가며 그 중에서도 '컨퓨즈 티어'와 '익스트리미스트'는 거의 고정으로 채용하는 편이다.
'앤드리스 그리드'는 회전율을 50%나 넘게 끌어올리는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탈리스만이다. 다만 원본 스킬의 공격력이 처참할 정도로 낮아 탈리스만까지 곁들여야 다른 평범한 스킬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이 탈리스만의 의미는 설치형으로 깔아둔 그리드가 계속해서 휘광을 터트려주는데에 있다. 안식의 날개 같이 휘광 타격이 끊길 수도 있는 타이밍에 미리 그리드를 사용해두면 휘광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화력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패스트 인테이크'는 글러트니 바밋의 후속 타격을 설치형으로 바꿔줘 채널링을 큰 폭으로 줄여준다. 글러트니 바밋을 쓴다면 필수로 챙겨가야 하는 탈리스만이다. 다만 결전의 무기 장착 시 탈리스만 없이도 구조가 개선되어 공격력 상승치가 낮은 다른 탈리스만과 비슷한 입지가 된다.
나머지 탈리스만은 공격력만 증가시키면서 수치도 압도적이지 않아 채용 가치가 낮다. 그 중에서도 '어나이어레이터'는 슈퍼아머 상태의 긴 채널링 때문에 생존에 위협이 생기며 채널링 중 '휘광'이 발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 거쳐가는 용도로도 쓰기 힘들다.
(그리드 더 러커) |
악마 계열 스킬 시전 중 발동 가능 그림자 생성이 완료된 후에도 다단히트 피해를 입힘 다단히트 수 6회 증가, 공격력 감소 쿨타임 15% 감소 [탈리스만 추가 효과] 삼키는 연출 중 슈퍼 홀드 지속 1초 증가 삼키는 도중에도 다단히트 피해를 가함 최대 다단히트 횟수 7회 추가 증가, 공격력 18% 감소 |
(사이드 매서커) |
공격 범위 40% 증가 주변 적을 끌어오는 판정 발생 연타 시 회전속도 증가 회전 수 6 증가, 공격력 감소 [탈리스만 추가 효과] 회전 중 이동속도 400% 증가 공격력 16% 증가 |
(스커드 더 라스) |
순간 베기 시 Y축 이동 가능 공격 범위 20% 증가 공격력 13% 증가 [탈리스만 추가 효과] 전진 거리 20% 증가 시전 중 스킬키 추가 입력시 타격한 적 추격 공격력 증가량 18% 추가 증가 |
(엔비어스 키스) |
공격 범위 20% 증가 피니쉬 발동 가능 거리 40% 증가 경직시간 1초 증가 매혹 유지 시간 3초 증가 공격력 10% 증가 [탈리스만 추가 효과] 스킬에 유도 성능 추가 및 투사체 속도 증가 공격력 증가량 18% 추가 증가 |
(글러트니 바밋) |
흡수 최대 충전 시간 70% 감소 다단히트 최대 횟수 50% 감소 다단히트 간격 20% 감소 흡수 다단히트 공격력 200% 증가 [탈리스만 추가 효과] 공격 범위 20% 증가 흡수 공격의 끌어들이는 범위 및 속도 증가 피니쉬 다단히트 공격력 18% 증가 |
(세컨드 소울) |
첫 베기 동작이 삭제되고, 시전 즉시 몰아넣기 공격 발동 쿨타임 10% 감소 공격력 6% 증가 [탈리스만 추가 효과] 피니쉬 원죄 폭발 공격이 제자리에서 내려치는 동작으로 변경 공격력 23% 추가 증가 |
(서드 립) |
찌르기 공격 여부와 무관하게 시전 즉시 무적 부여 찌르기 유지시간 1초 증가 공격 범위 20% 증가 피니쉬 촉수 산개 공격력 22% 증가 [탈리스만 추가 효과] 찌르기 후 스킬키 추가 입력 시 피니쉬 공격 발동 피니쉬 촉수 산개 시전시간 20% 감소 피니쉬 촉수 산개 공격력 32% 추가 증가 |
- 실전 운용 및 장비 테마 추천
미스트리스 운용의 핵심은 2차각성 패시브의 '휘광' 옵션을 최대한 많이 발동시키는 것이다.
휘광은 악마로 변하는 스킬을 시전시 발동되며 적에게 추가 딜링을 넣어주는데, 쿨타임이 존재하며 발동조건이 존재하므로 꾸준히 신경써주며 발동시켜줘야한다. 이를 꾸준히 해주지 못한다면 전반적으로 낮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는 미스트리스 특성상 매우 저열한 데미지 딜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러스트 핸드', '엔비어스 키스' 등 미스트리스 본인이 적에게 밀착하는 스킬이 존재하면서, 반대로 '슬로스 바디', '세컨드 소울', '글러트니 바밋' 등 몬스터를 미스트리스의 코앞으로 당겨오는 스킬도 많다.
이에 미스트리스는 적과 항상 근접해있다고 봐도 무방하며 파티원의 타점을 흐리지 않기위해서라도 더더욱 몬스터와 최대한 근접하는 플레이가 권장된다.
결국 본인의 딜링을 위해서든, 파티원의 딜링을 위해서든 미스트리스는 몬스터와 밀착한 상태에서 전투를 진행하는 것을 강요받는다.
캐릭터 자체는 간단한 캐릭터지만, 근접한 상태에서 공격 전조를 파악하고 '길로틴', '컷인대쉬' 등의 생존기로 회피하는 테크닉이 필수라는 점이 조작난이도를 올린다. 다만 '슬로스 바디'는 주력 딜링기 중 하나이므로 딜링을 위해 사용해야하며 생존을 위해 아끼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아이템 테마의 경우 '무거운 죄업'으로 MP까지 계속해서 채울 수 있어 MP 과소모 수치를 높게 올려도 부담이 덜해 관련 아이템을 적극 채용할 수 있다.
의외로 기본기 테마와도 호궁합이다. 휘광의 데미지가 기본기 테마의 영향을 어느정도 받으며 미스트리스의 스킬 구성 중 악마 계열 기본기도 상당히 많아 적과 근접해서 기본 공격을 간간히 넣어주며 지속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